직접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 제조방법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이숙-
dc.contributor.author김장환-
dc.contributor.author김한섭-
dc.contributor.author조연주-
dc.date.accessioned2020-09-11T02:05:09Z-
dc.date.available2020-09-11T02:05:09Z-
dc.date.issued2017-01-10-
dc.identifier.other13050KR-
dc.identifier.urihttps://oak.kribb.re.kr/handle/201005/20816-
dc.description.abstract본 발명은 성체 세포의 Oct4, Sox2, Klf4, 및 c-Myc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세포에 SHH(sonic hedgehog) 및 FGF8(fibroblast growth factor 8)을 처리하여 성체 세포로부터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induced Dopaminergic Progenitor; iDP) 로의 직접 리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및 파킨슨 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본 발명은 상기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신경 줄기세포-유사 콜로니(NSC-like colony)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콜로니를 단일 세포화하고, 신경 세포 분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중뇌 도파민성 뉴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포를 이용하여 파킨슨 병 예방 또는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구세포는 도파민성 뉴런으로 분화되는 효율이 기존 방법들에 비하여 현저히 높으며, 환자 체세포를 이용할 수 있어 면역원성 등의 부작용과 윤리적 문제가 없어,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c.title직접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유도 도파민성 전구세포 제조방법-
dc.title.alternativeA method for preparation of induced dopaminergic progenitors using direct reprogramming-
dc.typePatent-
dc.date.registration2017-01-10-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이숙-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장환-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한섭-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연주-
dc.date.application2013-07-31-
dc.identifier.patentApplicationNumber10-2013-0091179-
dc.identifier.patentRegistrationNumber10-1696874-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contributor.assignee한국생명공학연구원-
dc.contributor.inventor조이숙-
dc.description.patentCountryDivision국내-
Appears in Collections:
Division of A.I. & Biomedical Research > Immunotherapy Research Center > 2. Patents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OpenAccess@KRIB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