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차영 | - |
dc.contributor.author | 정유정 | - |
dc.contributor.author | 김석원 | - |
dc.contributor.author | 노문철 | - |
dc.contributor.author | 류영배 | - |
dc.contributor.author | 이우송 | - |
dc.contributor.author | 정재철 | - |
dc.date.accessioned | 2020-09-11T02:21:33Z | - |
dc.date.available | 2020-09-11T02:21:33Z | - |
dc.date.issued | 2020-05-18 | - |
dc.identifier.other | 16010JP-1 | - |
dc.identifier.uri | https://oak.kribb.re.kr/handle/201005/2130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발명은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니페린의 경우 간보호, 항암, 항산화 및 피부의 화이트닝에 효과적이고, 저밀도 리포프로테인과 고밀도 리포프로테인의 산화저해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도 식물체 꽃밥 조직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유용물질(스틸벤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관련 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 - |
dc.title |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 - |
dc.title.alternative |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viniferin through tissue culture from grape tree using stevioside | - |
dc.type | Patent | - |
dc.date.registration | 2020-05-18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차영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정유정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석원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노문철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류영배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우송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정재철 | - |
dc.date.application | 2018-09-12 | - |
dc.identifier.patentApplicationNumber | 2018-548426 | - |
dc.identifier.patentRegistrationNumber | 6705909 | - |
dc.publisher.location | 일본 | - |
dc.contributor.assignee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
dc.contributor.inventor | 김차영 | - |
dc.description.patentCountryDivision | 국외 | -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OpenAccess@KRIB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