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information analysis framework to strengthen collaborative ecosystem in response to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 모기매개 감염병 대응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국가연구개발 정보 종합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Title
R&D information analysis framework to strengthen collaborative ecosystem in response to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 모기매개 감염병 대응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국가연구개발 정보 종합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Author(s)
Jieun Lee; Choong-Min Ryu; Keunhwan Kim; Doyeon Lee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25, no. 4, pp. 416-426
Publication Year
2024
Abstract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국제 공중보건위기상황를 해제하였지만,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신변종 감염병의 발생이 빈번해지고 피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미래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차원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연구 협력체계 구축을 지원하는 연구과제 정보 종합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중에서 기후변화로 급증하고 있는 주요 모기매개 감염병인 지카열, 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에 초점을 두었다. 코로나19 발생 전후,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모기매개 감염병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291개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기매개 감염병 연구개발과제 수행현황을 핵심기술 영역별로 분석하여 미래 모기매개 감염병 대비를 위한 국가연구개발 투자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추가로, 산학연간 연구협력 생태계의 고도화를 위하여 모기매개 감염병의 기술 영역별 연구기관 현황을 분석하고, 연구결과의 모기매개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상용화 연계를 위하여 연구기관 특성 분석 결과 및 수행주체 정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논문 및 특허의 한정된 정보분석 연구에서 확인되지 못했던 연구개발 투자를 포함한 종합분석을 실시하고 모기매개 감염병 대비를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전략의 방향성을 도출함으로써, 모기매개 감염병 대응 협력체계 강화 정책 현안에 대한 시의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
Infectious diseaseMosquito-borneR&DInformation analysis frameworkCollaboration
ISSN
1975-4701
Publisher
Korea Soc-Assoc-Inst
Full Text Link
http://dx.doi.org/10.5762/KAIS.2024.25.4.416
Type
Article
Appears in Collections:
Division of Research on National Challenges > Infectious Disease Research Center > 1. Journal Articles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OpenAccess@KRIB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